한국수자원공사 윤석대 사장, 합천댐 현장점검
상태바
한국수자원공사 윤석대 사장, 합천댐 현장점검
  • 이준희 기자
  • 승인 2024.06.17 23:1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6월 17일 합천댐 점검, 수문개방 직접 시연 등 댐 운영·기능 종합 확인

[대전 뉴스밴드 = 이준희 기자]

윤석대 한국수자원공사 사장(가운데)이 6월 17일 합천댐 현장점검을 통해 댐 수문설비 작동현황 등 홍수기 대응체계를 점검하고 있다. 

윤석대 한국수자원공사(K-water) 사장은 17일 합천댐을 찾아 현장을 직접 살피며 홍수기 대응체계를 점검했다. 

이번 점검은 섬진강댐을 포함한 전국 주요 댐 사전 현장점검의 일환으로 추진됐으며, 올해 여름철 강수량이 예년보다 많을 확률이 40%에 달할 것이라는 기상청의 전망에 따라 극한 호우를 전제로 댐의 운영과 기능을 종합적으로 확인하는 자리였다. 

이날 윤석대 사장은 낙동강 유역의 홍수기 대응 현장 대책 회의를 소집한 가운데, 강우량 급증에 따른 수위 상승을 대비하여 상황별 수문 방류 운영 현황을 살폈고 만일의 사태를 가정해 비상 발전기를 활용한 수문 동작 시험도 직접 시연하는 등 하류 지역 피해 예방에 집중했다. 

윤석대 한국수자원공사 사장(가운데)이 6월 17일 합천댐 현장에서 합천댐 시설현황 등에 대해 설명을 듣고 있다. 

이어 ▲ 극한 홍수를 대비한 선제적 물그릇 확보 ▲ 댐 하류 하천 모니터링 협력체계 등을 점검하며 어떤 상황에서도 신속한 대응 태세를 갖출 것을 당부했다. 

합천댐은 높이 95m, 길이 472m에 이르는 다목적댐이며 총저수용량은 7.9억 톤이다.

경남의 합천군, 창녕군 등 경남지역의 홍수 방어를 담당하는 만큼, 홍수기에 앞서 5월부터 수문 및 비상방류설비 등을 활용하여 초당 최대 300톤 이내의 물을 방류하는 등 충분한 물그릇 확보로 극한홍수를 대비하고 있다. 

이와 함께 낙동강홍수통제소, 낙동강유역환경청, 합천군 등과 댐 하류 모니터링 협력체계도 강화하고 있다.

윤석대 한국수자원공사 사장(맨 오른쪽에서 두번째)이 6월 17일 합천댐 현장점검을 통해 댐 수문설비 작동현황 등 홍수기 대응체계를 점검하고 있다. 

낙동강 유역은 합천댐을 비롯하여 한국수자원공사가 관리하는 밀양, 임하댐 등 주요 다목적댐이 위치한 곳으로, 지리상 강우가 잦아 하천 전반에 걸쳐 탄력적이고 신속한 대응이 필요하다.

이에 관계기관과의 긴밀한 공조로 극한 호우에 따른 강우 유입량 증가 시 댐 방류 상황을 신속히 전파하고 위험 요소 발굴 및 조치로 하류 지역 피해를 예방한다는 계획이다. 

윤석대 사장은 “이번 점검은 올해 예상되는 강우량 증가에 대비해 합천댐의 안전성과 운영 효율성을 종합적으로 점검하고, 기존의 댐 운영 방식을 넘어 더 유연하고 효과적인 대응체계를 마련하기 위한 것”이라며, “국민 안전을 최우선으로 모든 가능한 대비책을 마련하고, 점검을 통해 확인된 사항들을 반영하여 홍수기 안전한 댐 운영에 더욱 박차를 가하겠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