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 일회용품 제로 실천문화 도 전역으로 확대
상태바
충남도, 일회용품 제로 실천문화 도 전역으로 확대
  • 이준희 기자
  • 승인 2024.06.05 18:3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도, 제29회 환경의 날 기념식 개최…‘일회용품 제로 충남’ 선포
도내 102개 종교, 시민사회단체 등과 일회용품 제로 실천문화 확산

[내포 뉴스밴드 = 이준희 기자]

김태흠 충남지사 환경의 날 축사
김태흠 충남지사 환경의 날 기념사

충남도가 일상 속 일회용품 제로 실천문화를 도 전역으로 확산하기 위해 종교, 시민사회단체 등과 힘을 합친다.

도는 5일 아산시 신청호 일원에서 열린 ‘제29회 환경의 날(제3회 환경교육주간) 기념식에서 김태흠 지사와 임상준 환경부 차관, 박경귀 아산시장, 종교·시민사회단체, 도민 등 20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일회용품 제로 실천 협약식 및 선포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서 김 지사는 “충남은 전국 온실가스 배출량 1위의 오명을 쓰고 있는 지역으로, 석탄화력발전소 59기 중 절반인 29기가 몰려 있는 실정”이라며 “도는 이러한 위기를 기회로 바꾸기 위해 탄소중립경제특별도를 선포하고, 탈석탄 에너지 전환과 산업구조 재편을 주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오늘부터 종교·시민단체를 중심으로 일회용품 제로 충남에 도전한다”며 “텀블러 사용과 분리수거, 자원절약 등 대한민국을 바꾸는데 우리 충남이 맨 앞에 서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선포식을 통해 대내외에 강력한 추진의지를 밝힌 일회용품 제로 실천 문화 확산에는 도내 102개 종교계·시민사회단체가 동참했다.

종교계에서는 기독교, 불교, 천주교, 성공회, 원불교 등 대한민국 대표 5개 종교가 참여하고, 시민사회단체는 대한민국상이군경회 등 35개 단체가 힘을 보탠다.

이와 함께 충남소상공인연합회 등 경제계 30개, 지체장애인연합회 등 장애인단체 7개, 충남사회복지협의회 등 자원봉사 단체 8개, 한돈협회 등 농·축산 분야 15개, 기계설비건설협회 등 건설 분야 2개 단체가 실천 문화 확산에 나선다.

도내 모든 종교계와 시민사회단체 등이 참여해 일회용품 제로 실천 협약을 체결한 것은 전국 최초 사례이다.

협약에 따라 각 단체들은 1회용품 대신 다회용품·용기 사용 분위기 확산, 재활용하기 쉬운 제품 소비 및 올바른 분리배출 실천으로 순환경제 활성화에 노력한다.

환경의 날 기념식에 참석한 단체사진
환경의 날 협약식 및 선포식 개최

이와 함께 새활용·재활용제품 이용 등 자원절약 및 폐기물 감량에 힘을 모으고, 단체회원·신자에 대한 교육·홍보를 실시하며, 범도민 홍보·캠페인에도 참여한다.

앞서 도는 2022년 10월 6일 탄소경제중립특별도 선포 이후 일회용 플라스틱 소비 감축을 통한 탄소중립을 선도하기 위해 지난해 6월 도청사 내에서 일회용 플라스틱을 퇴출했다.

같은 해 9월에는 시군·교육청·경찰청이, 12월에는 14개 대기업, 올해 3월에는 30개 중소기업이 동참했으며, 이날 선포식을 통해 일상 속 탄소중립 분위기를 도 전역으로 확대한다.

김 지사는 “탄소중립은 거스를 수 없는 시대적 흐름으로, 이제는 220만 도민이 나설 차례”라며, “일회용품 제로부터 탄소중립까지 충남이 만들어가는 변화가 문화가 되고, 기후위기를 극복해낼 큰 힘이 될 것”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세계 환경의 날(매년 6월 5일)은 국제연합(UN)이 환경보호에 대한 전세계의 관심과 행동을 촉구하기 위해 제정한 날이다.

올해는 깨끗한 충남 실천대회와 환경교육주간을 연계해 ‘기후위기를 넘어 녹색 충남으로 - 함께해요! 플라스틱 제로부터 탄소중립까지’란 주제로 행사를 진행한다.이날 기념식은 환경 보전 유공자 표창, 1회용품 제로 협약식 순으로 진행됐다.

유공자 표창에서는 환경보전 및 환경교육, 1회용품 사용 줄이기에 기여한 개인과 단체에 도지사 표창을 수여했다.

부대행사로는 환경·자원재활용 홍보·체험 부스 74개를 운영했으며, 지난해 12월 1회용품 줄이기 협약을 맺은 삼성디스플레이, 삼성전자, 종근당, 현대제철이 참가해 ‘도와 함께하는 플라스틱 사용 줄이기’ 캠페인을 벌였다.

오는 11일까지 운영하는 환경교육 주간에는 생태환경 탐조단, 환경교육 프로그램, 탄소중립 포럼, 플라스틱 순환경제 포럼 등을 개최할 계획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