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S 세종 = 김소영 기자]
주민 생활에 밀접한 공공시설물 건립 시 설계단계부터 주민과 운영자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해 주민이 원하는 시설로 특화·공급하는 방안이 추진돼 눈길을 끌고 있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청장 이충재)은 세종시 신도시(행정중심복합도시, 이하 행복도시)에 행정·문화·복지·체육 분야 등 다양한 서비스를 한 곳에서 처리할 수 있는 주민공동시설(복합커뮤니티센터 22곳)과 맞춤형 복지시설인 광역복지지원센터(6곳) 등에 주민들의 의견을 최대한 수렴해 건립하는 설계 지침(가이드라인)을 마련, 시행할 계획이라고 1일 밝혔다.
이 같은 방침은 개방과 공유, 소통과 협력을 바탕으로 국민의 눈높이에 맞춰 행정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부3.0의 일환으로 마련됐다.
행복청은 현재까지 주민공동시설(복합커뮤니티센터) 22곳 중 5곳과 광역복지지원센터 6곳 중 1곳을 건립, 행복도시 주민들의 소통공간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올해에도 주민공동시설(복합커뮤니티센터) 7곳(준공 2곳)과 광역복지지원센터 2곳(준공 1곳)에 1022억 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행복청은 그동안 공공건축물 건립 시 주민․이용자․운영자의 의견을 반영하기 위해 노력해왔으며, 최근 어린이집 원장, 스포츠센터 운영자, 주부모니터단, 외부전문가, 설계사 등이 참여해 ‘공공건축 특화 등을 위한 공동연수(워크숍)’을 개최했다.
이에 따라 이용자의 의견(30여 개)을 현재 진행 중인 행복도시 2-2생활권(세종시 새롬동)과 3-3생활권(세종시 소담동) 설계에 반영했다.
앞으로 행복청은 주민과의 공동연수(워크숍)를 정례화해 공공건축물 건립 시 계획단계부터 주민 참여 기회를 높여 더욱 안전하고 편리한 주민 친화적 건축물을 공급할 방침이다.
주민과 소통하는 가운데 발굴된 설계개선사항은 설계 지침(가이드라인)으로 제정해 공공건축물 건립사업 전반에 확산시키는 등 도시가치를 제고해 행복도시를 살기 좋은 명품도시로 건설하는데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이진철 행복청 공공시설건축과장은 “다양한 방법으로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해 반영함으로써 주민 친화적 공공시설 건립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면서 “주민생활에 밀접한 시설물은 준공 즉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므로 운영주체인 세종시의 위탁사업자 사전 선정 등 철저한 준비 작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